본문 바로가기
일본 생활

일본에서 집 구할 때 꼭 알아야 할 필수 부동산 용어

by 히요코s 2025. 5. 8.

일본에서 집을 구하고자 할 때에 몇 가지 꼭 알아야 할 필수 부동산 용어들이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의 부동산은 다른 점이 많으므로 집을 구할 시에 부동산 관련된 지식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임대 계약을 할 때 초기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 편입니다. 집을 구하기 전에 각각의 비용 관련 단어의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잘못된 비용을 지불하지 않도록 미리 알아두는 것은 집을 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본에서 집을 구할 때 알아야 할 중요한 부동산 용어 및 지불해야 할 금액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본 부동산 필수 용어
[출처:photoAC]

1. 일본 부동산과 한국 부동산의 차이

일본의 부동산과 한국의 부동산은 계약 형태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집을 빌리는 경우, 한국에는 '전세'라는 계약 형태가 있지만, 일본은 '월세'로만 계약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집을 빌릴 때 초기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며, 이중 대표적은 초기 비용으로는 시키킹, 레이킹, 중개수수료 등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야칭(家賃) : 월세

집을 구하기 위해서 부동산을 방문하면 야칭은 얼마 정도를 예상하는지의 질문을 받게 됩니다.

단어가 다소 생소하지만, 여기서 '야칭(家賃)'은 바로 월세를 의미합니다.

한자를 풀어서 보면 '家'는 집을 뜻하며, '賃'은 임대료 라는 뜻으로, 즉 집을 빌릴 때에 집주인에게 지불해야할 주택의 사용료를 의미합니다.

 

또한 일본에서는 집을 구할 때에 입거 심사(入居審査)를 하는데요. 그 중 월세는 월수입의 약 1/3 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수입이 30만엔인 경우, 월세 20만엔의 집을 빌리겠다고 하면 집주인이 거절하기 때문에 심사에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는 수입의 1/3 정도라면 무리하지 않고 야칭을 계속적으로 지불할 수 있을 거라는 판단에서 나온 것이지만, 입거 심사의 기준에 해당될 뿐, 본인의 생활비, 저축 등을 고려해서 더 적게 예산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관리비(管理費)와 공익비(共益費)

일본에서 집을 빌릴 시에, 야칭과 함께 별도로 매달 지불해야 하는 항목에는 관리비(管理費)와 공익비(共益費)가 있습니다.

관리비(管理費)와 공익비(共益費)는 둘 다 건물의 관리를 위해서 드는 비용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건물 공용 부분에 속하는 건물 현관, 엘리베이터, 주차장, 쓰레기버리는 곳의 관리 및 공용 부분의 전구 교환, 오토 락, 건물의 수도세, 전기세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리비만 있고 공익비가 없는 경우도 있으며, 두 단어를 합해서 관리비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4. 시키킹(敷金) : 보증금

일본에서 집을 구할 때 초기 비용은 지역과 집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당히 많은 비용이 드는 편입니다.

보통 집을 구할 때는 한 달 월세의 4배 ~ 5배 금액이 초기 비용으로 든다고 보면 됩니다.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이유는 시키킹, 레이킹, 중개수수료가 비싸기 때문입니다.

 

일본에서 집을 구할 때 반드시 듣는 단어가 바로 시키킹(敷金)과 레이킹(礼金)입니다.

시키킹(敷金)은 일반적으로 보증금과 같은 의미입니다.

시키킹은 집을 임대시에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맡기는 담보 즉 보증금의 역할을 합니다.

이는 월세의 미납이나 집의 파손 등을 대비한 금액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퇴거시에 전액 환불됩니다. 다만 임대 물건에 따라서 다르지만, 퇴거 후 청소 목적으로 일부를 떼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부분을 계약시 잘 살펴봐야 합니다.

시키킹(敷金)은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보통 주거용인 경우에는 1 ~ 2개월치 월세를 계약시에 지불하며, 업무용인 경우 6개월 정도를 지불합니다. 계약서에 만약 시키킹 상각(敷金償却)이라고 되어 있으면, 세입자가 월세 미납 및 파손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도 퇴거시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5. 레이킹(礼金) : 사례금

다음은 집을 구할 때 초기 비용 항목으로 레이킹(礼金)이 있습니다. 레이킹은 계약시 집주인에게 감사의 뜻으로 주는 사례금을 의미합니다.

세입자 입장에서는 어차피 집을 비워두면 집주인도 손해고, 내가 내 돈 주고 집을 빌리는데 왜 사례금을 지불해야 하는지, 외국인으로써 상당히 이해하기 힘든 부분일텐데요. 레이킹(礼金)은 일본의 오래된 관습으로 옛부터 집을 빌릴 시에 집을 빌려주어서 감사하다는 뜻으로 집주인에게 사례금을 주는 문화가 있었는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보증금의 역할인 시키킹(敷金)과는 달리 레이킹(礼金)은 사례금이므로 퇴거 시 일체의 환불은 없습니다.

주거용을 임대할 경우 레이킹 역시 시키킹과 마찬가지로 보통 1~2개월치 월세를 지불합니다.

 

참고로 위의 4번에서 계약서에 만약 시키킹 상각(敷金償却)이라고 되어 있으면, 세입자가 월세 미납 및 파손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도 퇴거시 돌려받을 수 없다고 했는데요. 예를 들어 시키킹 2개월, 레이킹 1개월의 집을 계약했는데 계약서에 만약 시키킹 상각(敷金償却) 1개월이라는 조항이 있으면 결국 레이킹을 2개월 지불한거나 마찬가지가 되는 것이므로 계약서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6. 중개수수료(仲介手数料) : 부동산 수수료

레이킹, 시키킹 이외에도 집을 임대할 시에는 임대 물건을 중개해 준 부동산에도 수수료仲介手数料)를 지불해야 합니다.

보통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1개월분의 월세를 지불합니다.(소비세 별도)

중개수수료는 법률적으로 1개월 이내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0.5개월분을 받는 부동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야칭 10만엔의 집을 계약하는 경우, 부동산 중개수수료로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야칭 100,000엔 + 소비세 10,000엔 = 중개수수로 110,000엔입니다.

 

 

 

7. 선불 월세(前払い家賃)

집을 임대 계약할 시에는 미리 다음 달분의 월세도 함께 지불해야 하는데요, 이를 '마에바라이야칭(前払い家賃)' 또는 '마에야칭(前家賃)'이라고 하며, 선불 월세를 뜻합니다. 

그런데 만약 임대 계약일 중간에 입주하게 되는 경우에는 미리 입주한 날만큼 일할로 계산해서 지불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매월 월세 지불일은 1일인데, 15일에 입주하게 되면 남은 15일을 일할로 계산하는데, 이를 '히와리야칭(日割り家賃)'이라고 합니다.

 

 

 

8. 화재보험(火災保険)

일본에서 집을 임대할 때, 보험 가입은 필수입니다.

임대계약에서 화재보험에 가입하는 것은 법률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계약조건으로 화재보험 가입을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험료는 보통 1만엔 ~ 2만엔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세입자 입장에서는 보험이 정말 필요한 것인지 의문도 들고 비용도 부담이 될 수 있지만, 만일의 사항에 대비해서 보험을 꼭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일본은 사소한 사고 및 수리에도 상당히 많은 비용이 드므로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9. 글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일본에서 임대계약으로 집을 구할 때 꼭 알아야 할 필수 부동산 용어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몇 가지 중요한 내용을 정리해보면, 

일본은 한국과 달리 '전세' 계약이 없으며 '월세'로 계약해야 합니다.

매월 지불하는 월세를 야칭(家賃)이라고 하며, 별도로 관리비 및 공익비를 지불하기도 합니다.

일본에서 집을 구할 때에는 초기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데요.

보통 계약하려는 집의 월세 4~5배 정도의 비용을 예산으로 잡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야칭 8만엔, 시키킹 2개월, 레이킹 1개월의 집을 계약할 시에 드는 초기 비용은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

선불 월세 80,000엔 + 시키킹  160,000엔 + 레이킹 80,000엔 + 중개수수료 88,000엔 = 초기 비용 408,000엔

그 외에 보험료, 보증회사료, 히와리야칭 등의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시키킹, 레이킹이 없거나 중개수수료가 저렴한 곳에서 계약하면 비용을 다소 줄일 수는 있습니다.

 

한국과는 다른 일본의 부동산 시스템 및 다소 생소한 언어로 처음에는 집을 구하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부동산 관련 용어를 미리 숙지하고 차근차근 알아보면 큰 도움을 될 것이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과 "댓글" 부탁드려요.